2018년 10월,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이 포화돼 사용이 완료됐다 ⓒ함께사는길 이성수
2025년 사용만료 시한을 앞둔 수도권매립지와 그 후속 대체 매립지 건설을 둘러싼 서울, 경기, 인천 3개 시도의 지역 갈등이 심각하다. 갈등의 원인은 표면적으로는 ‘수도권매립지 사용시한을...
수도권 매립지 ⓒ함께사는길 이성수
폐기물 발생이 줄지 않는다. 우리가 버린 ‘쓰레기’는 어디로 가는 걸까. 분리배출만 잘하면 쓰레기가 아닌 자원이 되는 것일까.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여전히 우리가 버린 상당수의 쓰레기는 매립되거나 소각된다. 제1의 혐오시설로 경원시되는...
전 세계적으로 탈 플라스틱과 순환경제에 대한 논의와 사회적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고, 쓰레기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이기 위해 생산 과정에서부터 재활용과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제품을 설계할 것을 법으로 규정하는 국가들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세계 곳곳에서...